3편에 이어 매니저 Sharon와 인터뷰를 하게되었다. 공정무역을 실천하는 아름다운커피에 대해 소개하자 반갑게 맞아준다.  커피특공대의 활동을 적은 책자나 ‘히말라야의 선물’ 등 구체적인 상품을 보여드리면 더욱 좋았을 텐데. 토론토에 오기 전 준비를 해오지 못한 것이 아쉬울 뿐이었다. 그렇게 시작된 인터뷰. 점원 Rachel도 함께했다. 


이해수 (커피특공대) : 아름다운 커피특공대, 공정무역 캠페이너이다. “Coffee commando.” 라고 부른다.

Sharon : 커피, 코만도? 하하. North Korean 인가? 이름이 재미있다.

이해수 : 그 동안 세미나를 많이 가졌었는데 항상 이름에 대한 질문이 나온다. 다른 이름으로 ‘Beans’ family’가 있었고, 느낌이 ‘Beautiful store’ 와 맞아 떨어졌지만 나는 Coffee commando가 우리를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이름이 아닌가 싶다. ‘캠페인’ 하면 피켓을 들고 슬로건을 외치거나, 지하철에서 윤리적 호소로 관련내용의 종이를 건네는 등의 이미지를 떠올린다. 그러나 “Commando”는 돌격!을 외치며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미지를 준다. 커피특공대는 대부분 젊은 대학생들로 구성되어있고, 그들의 열정을 ‘Commando’ 라는 단어에 잘 담아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Sharon : 좋은 생각이다. 보통 우리와 같은 모티브로 시작된 단체들은 ‘Green-, Eco-, Fair-‘ 등으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서 ‘Coffee commando’ 는 가장 효과적으로 다가오고, 이름 덕분에 흥미를 불러올 수 있는 것 같다. 나처럼 이름을 한번 더 생각해보면서 말이다.
 
이해수 : 꼭 기억해달라. 하하. Green-roots는 어떤 상품들을 가지고 있는가?

Sharon : 재생종이로 만든 각종 학용품들, Organic cotton의 자극성이 적은 면직 제품들, 아기용품, 천연재료의 목욕용품, 주방용품 등 너무도 다양하다.

▲ 한국과 비교해보았을 때, 공정무역상품이 다양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아름다운커피가 런칭행사를 가졌던 에코 재활용 비닐가방들도 볼 수 있었다.  

 

이해수 : 어떤 상품이 가장 인기가 좋은가?

Sharon : 아기용품은 꾸준히 인기가 좋고, 나무로 만든 주방용품 또한 많이 찾는다. 이 상품들은 길목에 쓰러진 나무들로 만들어졌다. 버려진 나무들에게 상품으로서 가치를 만들어주는 것이다. 모양도 색도 다양하다. 이는 자연에 대한 관심도와 남들과 똑같은 것을 거부하는 시대가 잘 맞아 떨어졌다고 본다. 장난감도 톱밥을 모아 만들었다. 이는 나무가 하나 버릴 것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해수 : 토론토에서 공정무역의 인지도는 어떠한가?

Sharon : 점점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고 있다. 특히 젊은 층 사이에서는 공정무역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중적이다.’ 라고 말하긴 어렵다. 

이해수 : 한국의 상황과 비슷하다. 우리도 젊은 층의 공정무역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주 타켓이기도 하다. Green-roots는 어떤 방식의 마케팅을 하고 있나?

Sharon : 가장 크게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은 ‘Education’ 이다. 공정무역을 가깝게 느끼고, 친환경적인 생활에 익숙하려면 어려서부터 교육 되어야한다. 토론토의 학교에서는 아이들에게 recycling을 생활화하도록 시범교육을 실시한다. 또 학교에서 비료를 만드는 실습을 하여 back yards에 쓰도록 한다. 아이들은 학교에서 배운 비료 만드는 방법을 익혀 부모와 집에서 함께 만든다. 아이가 부모를 가르친다. (하하)

이해수 : 동감한다. 토론토의 Kensington market (vintage shops이 몰려있는 타운), 그리고 매 주일마다 열리는 Garage sale 등을 보면서 토론토의 다시 사용하는 문화가 잘 구축되어있음을 많이 느낀다. 그리고 그 문화를 너무도 좋아한다. 사실 한국의 경우, 아직은 recycling 이 reuse의 의미가 강해 누군가가 쓰던 물건, 단지 중고물품으로 인식되는 것 같다.


Sharon : recycling 은 reuse가 아닌 renew 이다. 이것은 reuse와는 다른 개념이다. Reuse는 말 그대로 다시쓰는 것에 그치는 반면, recycling은 쓰여진 물건을 다른 상품으로 새롭게 탄생시키는 renew의 의미이다.
 
이해수 : 감사하다. 개념이 확실히 잡힌다. 그런데 잠시 혼돈스럽다. 공정무역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나는 “제3국의 생산자에게 제 값의, 공정한 대가를 주는 것”을 가장 먼저 떠올린다. 윤리적인 소비 말이다. 공정무역이 유기농 상품이라고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연관이 있는가? 반면 Green-roots는 공정무역에 초점을 두기보다 친환경에 초점을 둔 상품들이 많다. ‘환경’과 ‘공정무역’, 어떤 밀접한 관계가 있는가? 뚜렷한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다.

Sharon : 공정무역 상품이 친환경 상품이다. 이 제품들은 천연재료만을 사용, 즉 화학재료를 사용해 대규모적으로 생산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가격이 조금 높다. 높은 가격은 생산자에게 더 높은 대가가 돌아가게 한다. 생산자는 높은 임금을 가지고 더 나은 환경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친환경적 상품의 퀄리티는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정무역 상품의 구입은 소비자의 건강으로도 이어진다.

이해수 : 공정무역이 주는 가장 큰 의미는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Sharon : 직거래라고 생각한다. 생산자와 거래자가 서로 얼굴을 알고, 신뢰할 수 있는 무역. 그것이 공정무역이다.

이해수 : (너무 기쁜 나머지 목소리가 떨렸다.) 동감한다. 난 작년에 네팔에 다녀왔다. 네팔은 아름다운커피와 거래하는 국가이다. 그 곳에서 농부들의 커피재배를 돕고, 그 커피가 어떻게 상품화 되는 지를 생생히 보았다. 아름다운커피가 생산자의 자녀들의 학교를 지원하고, 네팔을 꾸준히 방문하는 것을 보면서 생산자와 거래자의 사무적인 관계가 아닌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직접 느꼈다.
그렇다. 공정무역은 ‘face to face trade’ 이다. 너무 기쁘다. 잠시 잊고 지냈던 네팔에서의 감동들이 다시 떠오르는 기분이다.

이해수 : 앞으로 커피특공대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Sharon : 커피특공대 뿐 아니라, Green-roots에도 해당된다. 우리가 할 수 있는 방법은 어느 공간이든 찾아서 워크샵을 열고, 대중들이 즐길 수 있는 축제 등을 마련하여 지속적으로 알리는 것이다. 그리고 공정무역의 상품의 범위를 늘려나가는 것. 상품개발을 위해선 각국의 시장에 맞는 데이터가 필요하고 수집하는데 있어 젊은이들이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지 않을까? Coffee commando 라면 말이다.

▲ 천연비누 및 세제를 만드는 워크샵 모습. (Green-roots 제공) 각종 워크샵과 교육을 통해 공정무역을 알리고 있다.

Sharon이 가게 안쪽으로 나를 안내했다. 그 곳에는 한국의 김치통(?)들이 가득했다. 각 통 안에는 천연세제들이 담겨져 있고 재료와 용도가 달랐다, 버려진 통들을 모아서 놓으니 완벽한 세제보관소가 되었다.

그리고 옆에는 슈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세제통(비어있는)들이 쌓여있었다. 다 쓴 세제통에 원하는 천연세제를 담으면 된다. 세제를 다 쓴 후 빈 플라스틱통은 버리고, 또 사고 다시 버리는 플라스틱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막기 위한 실천이다.

“병이 달라져도 세제의 향과 기능은 변함이 없는데, 굳이 또 플라스틱을 살 필요가 있나요?” 가장 아름다운 실천이었다. ^^

▲ 빈 플라스틱통에 꼭지만 달아주었더니 훌륭한 세제통이 되었다. Green-roots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집에 나뒹구는(^^) 빈 통을 가져와 기호와 기능에 알맞는 세제를 담아간다.

Posted by 이해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