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생활 3주에 접어들면서. ELS 학교생활에 대해 적고 싶어졌다. 프레젠테이션 시간도 많고 2주에 한 번씩 시험을 치뤄야하고 방과후에 과제 외엔 딱히 할 일없는 하루가 많지만 평범한 날들이 오늘은 특별하다. 나를 둘러싼 사람들은 모두 즐겁고 나도 즐겁다.

 

 

 

▲ Final exam 을 위하여 설문조사 중.

이번 Topic 은 "What constitutes a family?" 이다. Classmates 과 논의하여 만들어진 설문조사 질문은

 

1) Would you adopt a handcaped baby?

2) Do you think gay parents affect their children in a badway?

3) Do you think children raised by a single parent can have the same quality of life as children raised by two parents?

4) If the husband and wife have different religions, should one of them change their religion?

5) Do you think family members are better to take care of children than child care center?

6) Would you marry someone if you knew he(she) can't have children?

7) If you want marry someone from a differnt race but your parents forbid it, would you still get married?


그리고 다섯사람에게 설문 뒤, 통계 후 프레젠테이션을 하는 것이 이번 주 과제였다. 나는 이웃 Canadian Alex , Malaysiain Abu

룸메이트 Mexican Karen & Rafael, 학원친구 Brazilian Solania 에게 질문을 했고,

지금껏 내 학원생활 중 가 - 장 - 보람되는 시간을 보냈다. :-) 대답들이 어찌나 다양한지, 내 예상과는 전혀 다른 대답이 나왔다.

 

 

▲ 내 과제인데 Karen 과 Rafel이 더 열심히 서로 자신이 옳다며 쏼라쏼라. 결국 화나서 스페인어로 빠르게 논쟁 시작. 

질문이 끝나니 카메라 보고 사이좋은 척 스마일 .... 흐흐.

 

1) Rafel 은 "Do you think gay parents affect their children in a badway?" 대해 gay 들의 삶은 존중하지만, 그 만큼 아이들의 삶도 존중해야한다고 대답했다. 아이들이 앞으로 겪을 Trauma 를 생각해보았냐고. gay 그 차제가 악영향이 아닌, 외부로부터 아이들은 차별과 편견을 안고 살 것이며 gay 커플은 어떻게 아이들에게 설명할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gay들도 자신의 삶을 즐길 권리가 있지만, 아이입양은 현실이라구.

감탄.

 

2) "나는 Rafel 너가 Open mind 를 가진 사람이라 생각해서 이런 대답을 생각하지 못했다" 말하자, Rafel이 open mind는 무엇이든 100% acceptable mind 가 아니라 다른이의 의견을 수용할 때, 왜 수용했는가 자신의 의견에 "책임" 을 질 수 있는 마인드가 open mind라 했다.  여기에서 또 다시 감탄.

 

3) 다른 응답자들도, 나도 "아이들이 gay 부모들을 보며 '소수'에 위치한 사람들에 대해 이해하며 좀 더 넓은 시야를 가질 수있을거라 생각했다." 말하자,  왜 gay 커플 자녀가 자신들의 부모를 보며, normal 사람들 보다 다양한 삶을 더 잘 이해할 것이라 생각하냐며. 그럼 너는 normal 부모의 자녀는 시야가 좁다는 것이냐며 그것또한 gay 에 대한 또 다른 차별의 시각이라 대답했다. homosexuality  의 편견을 줄여 나가는 방법은 얼마든지 많다며.

그러나 gay 커플이 아이를 입양하는 것은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라며. 감탄의 연속. 연속 ....

 

 

▲ 그러더니 내 질문지를 가져가 "이젠 Soo 네 의견을 말해봐" 이런다.

요 과제 덕분에 저녁은 간단히 셋이 시리얼 먹고, 우리집은 100분 토론현장되었다.

 

 

그리고 그 다음 날, 발표

 

 
▲ 설문조사 결과 발표. 설문조사를 하면서 너무도 좋은 사람들과 경험을 얻었기 때문에 아침부터 들 떠 있었다. 선생님께서 PPT 가 아닌 paper를 사용하라 하셔서 통계내고, 그래프 만들고 main idea 적어 보드에 붙였다. Rafael이 언급했던 값진 대답들을 발표시간에 모두 말하고 싶었는데... 오늘따라 왜 이렇게 시간을 조금만 주시는지... 욕심은 끝이 없다.

 

 

 ▲ "Do you think gay parents affect their children in a badway?"

사소한 것도 사진으로 남기는 나.  촌스러워도 ... 난 신입생이니까. ☞☜ 

또 내 생활으로 보는 엄마의 삶의 樂을 만족시켜주기 위함...(엄마 인터넷 괜히 알려줬어..!! 괜히알려줬어!!) 

 


중간고사 성적표 나왔다. 나 기쁘다. 생각보다 잘 해내고 있었다.

 

 

▲ Writing은 내가 좋아하는 part 라... ^_^ 결과도 좋았다. 사실 한글로 꾸준히 글(일기든, 일이든) 쓰던 습관 덕에 글을 전개해나가는게 나에겐 어려운 일이 아니다. 시험시간 글을 쓰면서 신이나던 모습이 기억난다. 아래는 시험보기 전 수업시간에 작성한 essay 전문.

 

My Irreplaceable Family

 

    I haven't considered what the meaning of family is. Maybe, I was no wonder that my family is always with me, eventhough my conduct was not respectful and not polite. However, when the teacher got this assignment to write essay about family, I missed my family. They cured me of my sadness as well as listened to my anquish without reasons. Therefore, they are my doctors, counselors and supporters.

 

   I am very colse to my mother. When I gave up studying art, I was so frustrated and disspointed with my self. I didn't know what to do because I had studied art for a long time. After quitting drawing, I usually got sick. I cried for many nights. However, my mother nursed me and encouraged me to overcome this difficult situation. Now, I can enjoy painting eventhough I did'nt enter fine art of university because of my mother's efforts.

My father also cures me. My body is cold all that time, especially my hands and feet. My father tried to solve the problem. He bought healty food which can make my body hotter, like ginseng. My body is still cold but my heart is warmest toward him. That's why I describe my parents as doctor.

 

    My family are counselors to me. Sometimes, I speak about my routine loudly at home. Nobody doesn't look like care me, but they listen to my speech whithout blame. Then, they advise me to find rational solutions.

My brother is better than professional counselors. We talk about our friends and he gives me advice about what to do when I argue with my friends. Because he always listen to me, I can free for talking mt anguish.

 

    Finally, all of them are my irreplaceable supporters. Let me say, there is a soccer player. He is good at playing soccer but he doesn't have any supporters. I think he can't improve over and over. He will ve in the limitation of himself. I am the same as the player. My family back me up.

My mother makes me smile everyday. She is funny. I can say that she is my active supporter like cheerleader. My father is silent. He watches how much I can develop by my self. He is also a supporters who assists me speechlessly. My brother tells me to plan for the future. He is last one of supporters who cna help me make a strategy. I can improve myself because I have three supporters at least.

 

    I Know that I have to return their endless love. My families argue with eachother many times, but I have never been ashamed of them. I am proud of them and I'll be docoter, counselor and supporter of them like they show me with positive effects.

 

 

▲ 가장 걱정했던 presentation (speaking)

 

도입부, 풍부한 단어사용, 깔끔한 마무리가 좋았다구. 다만 말할 때에도 문법을 좀 더 신경 쓰면 좋겠다구.... PPT 자료 준비를 많이 한 게 눈에 보인다며 선생님이 기대하겠다며 꼭 master class 까지 올라가라구 말씀해주셨다. 옆에 친구 성적표를 보니 실수 및 준비성, 태도에서 점수가 많이 깎여있었다. .... 나 가끔 newcommer 라고 old classmates의 포스에 기 죽곤 했는데 조금은 어깨펴도 될 듯하다. 우..쭈.ㄹ... 하려다 딱 하루만 기뻐하고 다시 출발선에 섰다.

 

 

▲ Reading은 만점 ...  대부분의 한국인들의 고질적인 문제가  "reading은 강하나 speaking이 약하다" 이지만.. 헤헤.

 

▲ SSP (structure and speaking pracitce), Kathleen 선생님의 코멘트. listening 과 speaking을 어떤 방법이든지 계속 연습해 발전해 나가라는 말씀. 점수의 높고 낮은보다 코멘트 하나하나가 내겐 너무나 소중하다.

 

3주의 학교생활을 하면서. 한참을 멍해 학교에서 나와서 커다란 벽만 보고 눈을 꿈뻑꿈뻑 거린 적이 많았다. 내가 지금 이런 상황이구나 새삼 느끼면서.. 학교생활에 좌절감과 무력감을 느껴 EW유학원에 가서 등록기간을 취소하려고 찾아가기도 했다. 그때 내 성급하고 서툴었던 결정에 따끔하게 조언해주신 EW유학원의 Brian 오빠. 지금은 그때 나를 설득해주신 오빠께 무한 감사드린다.

 

학교생활이 재밌고 보람차다. 공부도, 액티비티도, 친구들도 선생님들도.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을 만날 기회가 또 언제 있겠는가! 

여전히 수업시간을 100 % 알아듣지 못하지만 내 상황이 이렇다면 받아들이고 '좋아,해보는거야!' 라고 되뇌였다. 밟혀도 다시 일어나고 무시당해도 꿋꿋하게 고개를 들고 한발 한발 더 나은 사람이 되어가는거다. 지금 나는 작지만 나약하지는 않다. 얼마나 더 기다려야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지금 이 순간 믿는다, 내가 꼭 이 길에서 해낼 것임을. 이 모든게 좀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한 과정이리라... 생각하기로했다. 이 순간들이 결코 상처로만 남기지는 남지는 않으리라. 다 짐 을.

그런 의미에서 자신을 온전히 받아들이고 부단히 노력하고 스스로를 일으켜세운 이들에게 존경을 표하며!  

Wonderful Life in Toronto!

Posted by 이해수